[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SK바이오팜은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연례 학술대회(AACR 2025)에서 KRAS G12D 저해제의 최신 연구 성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SK바이오팜은 이번 AACR에서 신규 화합물 구조 기반으로 개발한 경구용 KRAS G12D 저해제의 전임상 모델에서의 약효, 혈장 노출 수준과 같은 약물성 등의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연구 결과, KRAS G12D 변이 췌장암(PDAC) 동물 모델에 해당 저해제를 경구 투여했을 때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확인했으며, 체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보로노이는 30일 미국암학회(AACR 2025)에서 발표한 EGFR 비소세포폐암(NSCLC) 표적치료제 후보물질 ‘VRN11’의 임상 1상 초기 데이터를 통해 탁월한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임상1상 용량 증량 과정에서 VRN11은 항암 효능이 확인된 용량에서도 Grade 2 이상의 약물 관련 이상사례가 한 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승인된 항암제는 Grade 3 이상의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이번 결과는 매우 이례적인 사례로 평가된다.미국 국립암연구소(NCI) 기준에 따르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에스티큐브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연례 학술대회(AACR 2025)’에서 ‘BTN1A1-YAP1’ 축을 타깃으로 한 차세대 면역항암 치료 전략 및 임상 연구 성과에 대해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기존 면역항암제의 한계를 넘는 새로운 메커니즘의 면역항암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에스티큐브는 BTN1A1과 YAP1의 상호작용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타깃하는 치료 전략이 ‘대장암’과 ‘폐암’에서의 항암 내성 극복 및 치료 반응 향상에 기여할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유한양행은 29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자사의 항암신약 파이프라인이자 표적항암제 후보물질인 ‘YH42946(JIN-A04)’ 및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인 ‘YH32364(ABL104)’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해당 결과는 25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AACR 2025에서 포스터 발표 형식으로 공개됐다. 관련 초록은 지난 3월 25일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게재된 바 있다.YH42946은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형(HER2)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차세대 이중기전 항암제 후보물질인 ‘네수파립(Nesuparib)’의 위암 적응증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네수파립은 암세포의 DNA 손상 복구에 관여하는 파프(PARP)와 암의 성장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탄키라제(Tankyrase, TNKS)를 동시에 저해하는 이중기전의 신약 후보물질이다. 기존 PARP 저해제는 BRCA 변이를 포함한 HRD(상동재조합결핍) 상태의 암세포에 주로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네
[더바이오 강조아 기자] 다국적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 이하 베링거)이 경구용(먹는)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형(HER2) 선택적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후보물질인 ‘존거티닙(zongertinib)’에 대한 임상1상(Beamion LUNG-1) 결과를 28일(현지시간)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공개했다.이번 임상은 ERBB2(=HER2) 유전자 변이가 있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베링거는 존거티닙 투여군에서 객관적 반응률(ORR)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에이비온은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TROP2 타깃 항체∙인터페론 베타 융합체 ‘ABN202’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하고 상용화된 항체약물접합체(ADC) 대비 우월한 항암 효능을 입증했다고 29일 밝혔다.ABN202는 TROP2 항원을 표적하는 항체에 인터페론 베타(IFN-β)를 융합한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TROP2 양성 유방암과 비소세포폐암(NSCLC) 등 다양한 고형암 모델에서 기존 ADC와 비교해 유의미하게 향상된 항암 효과를 나타냈다.인터페론 베타는 타입1 인터페론(type I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휴온스그룹 휴온스랩이 최근 인간 유래 히알루로니다제를 활용한 제형 변경 기술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휴온스랩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2025 연례회의(AACR)’에서 재조합 인간유래 히알루로니다제 ‘HLB3-002(rHuPH20)’를 활용한 제형 변경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히알루로니다제는 피하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해 약물의 확산 효력을 증가시키는 물질이다. 휴온스랩은 히알루로니다제를 활용해 항체의약품 정맥주사제(IV)를 피하주사제(SC)로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C&C신약연구소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로 개발 중인 STAT5·STAT3 이중 억제제 후보물질인 ‘CNC-01(임시코드명)’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AACR은 암 분야 세계 최대 학술대회다. C&C신약연구소는 STAT5·STAT3 이중 억제제의 작용기전과 비임상 효능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글로벌 기술 제휴 가능성도 타진했다.CNC-01은 ‘STAT5’와 ‘STAT3’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억제하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신라젠과 큐리에이터가 공동으로 항암제 후보물질 'BAL0891'을 연구한 결과 2건이 28일 오후(미국 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개최 중인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서 발표됐다. 큐리에이터는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혁신적인 3D 오가노이드 연구에 특화된 생명공학 회사다.양사는 지난해 6월 3D TIME(3D Tumor Immune Microenvironment) 모델을 통해 BAL0891과 면역항암제의 병용 시너지 확인 및 바이오마커 확보 등 BAL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HK이노엔은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 참석해 2건의 항암신약 물질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주목받는 HPK1 저해제인 ‘IN-122517(개발코드명)’과 비소세포폐암의 표적치료제인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변이 선택적 분해제인 ‘IN-207039(개발코드명, 동아에스티 개발코드명 SC2073)’에 대한 연구 결과로, 이 중 EGFR 분해제는 HK이노엔과 동아에스티가 공동 개발 중이다.차세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혁신신약 개발기업인 큐리언트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개발코드명 Q702)’의 고형암 임상1상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 2023년 11월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에서 공개한 임상1상의 용량 증가 실험(dose escalation) 결과에 더해 용량 확장 실험(dose expansion) 단계의 추가 환자 11명을 포함한 총 51명의 데이터가 반영된 최종 결과다.큐리언트는 이번 임상을 통해 임상 2상 권장용량(RP2D)을 도출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유한양행이 기존 ‘트라스투주맙(제품명 허셉틴)’ 치료에 실패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HER2·4-1BB’ 이중항체 후보물질인 ‘YH32367(개발코드명)’ 임상1상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25일부터 오는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처음 공개됐다.29일 AACR에서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표준 치료(트라스투주맙)에 불응성 또는 내성을 보이는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형(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보로노이는 27일(현지시간)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공개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을 타깃하는 표적치료제 후보물질인 ‘VRN11(개발코드명)’의 임상 초기 데이터를 통해 EGFR C797S 돌연변이 환자 대상으로 효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임상1a상 용량 증량 단계 진행 중에 EGFR C797S 이중 돌연변이(EGFR L858R/C797S) 뇌전이 환자에게 저용량인 40㎎을 투약해 부작용 없이 폐 병변에서 50% 이상의 부분관해(PR)를, 뇌 병변에서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신라젠은 항암제 후보물질인 ‘BAL0891’과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연구 결과가 28일(현지시간)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서 발표된다고 밝혔다.미국암연구학회는 암 관련 세계 3대 학회로 불린다. 올해는 25일부터 오는 30일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개최된다.해당 연구에서는 시험관 내(in vitro) 실험을 통해 BAL0891 투여 시 염색체 불안정성(CIN)에 의해 암세포 내 ‘cGAS-STIN’ G 신호 전달 경로가 활성화되고, 이로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동아에스티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HK이노엔과 공동 연구 중인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표적하는 단백질 분해제 후보물질인 ‘SC2073(HK이노엔의 개발코드명 IN-207039)’의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한다고 28일 밝혔다.AACR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학회로 손꼽힌다. 전 세계 암 연구 분야 전문가 및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항암 치료 및 신약 관련 다양한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셀트리온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 최대 암학회 ‘AACR(미국암연구학회) 2025’에서 다중항체 기반 항암 신약물질 ‘CT-P72’의 전임상 결과를 구두로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CT-P72는 셀트리온이 미국 바이오테크 기업 에이비프로(Abpro)와 공동 개발 중인 다중항체 면역항암제로, HER2(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를 발현하는 암세포와 면역세포인 T세포를 연결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T세포 인게이저(T-cell engager, TCE)’ 기반 치료제 물질이다.셀트리온은 지난 2022년 HE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바이오리버트(Biorevert)는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 참가해 KRAS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치료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한 신약 타깃 발굴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바이오리버트는 자체 개발한 시스템생물학 기반의 신약 타깃 발굴 플랫폼인 ‘MObyDiCK(Mechanistic target Optimization by Discovering and Controlling networK)’을 활용해 진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한독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항암신약 후보물질 연구 3건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포스터 발표는 차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돌연변이 분해 폐암 치료 신약 물질, KRAS G12D 변이 단백질 분해 신약 물질, 신규 FGFR·HDAC 이중 저해 신약 물질에 대한 연구다. 한독은 표적단백질분해 플랫폼과 이중표적 플랫폼을 활용해 BNJ바이오파마, 파이메드바이오와 각각의 항암제를 비임상 단계에서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퍼스트바이오)는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자사의 HPK1 저해제인 ‘FB849(개발코드명)’의 다양한 면역세포 조절과 종양미세환경 재구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FB849는 ‘HPK1(hematopoietic progenitor kinase 1)’을 억제하고, 기존 면역항암제와 달리 T세포뿐만 아니라 다양한 면역세포를 통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차별화된 기전을 갖는 혁신신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