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바이오리버트(Biorevert)는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 참가해 KRAS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치료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한 신약 타깃 발굴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바이오리버트는 자체 개발한 시스템생물학 기반의 신약 타깃 발굴 플랫폼인 ‘MObyDiCK(Mechanistic target Optimization by Discovering and Controlling networK)’을 활용해 진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한독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항암신약 후보물질 연구 3건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포스터 발표는 차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돌연변이 분해 폐암 치료 신약 물질, KRAS G12D 변이 단백질 분해 신약 물질, 신규 FGFR·HDAC 이중 저해 신약 물질에 대한 연구다. 한독은 표적단백질분해 플랫폼과 이중표적 플랫폼을 활용해 BNJ바이오파마, 파이메드바이오와 각각의 항암제를 비임상 단계에서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퍼스트바이오)는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자사의 HPK1 저해제인 ‘FB849(개발코드명)’의 다양한 면역세포 조절과 종양미세환경 재구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FB849는 ‘HPK1(hematopoietic progenitor kinase 1)’을 억제하고, 기존 면역항암제와 달리 T세포뿐만 아니라 다양한 면역세포를 통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차별화된 기전을 갖는 혁신신약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비아이케이테라퓨틱스는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인 ‘BIK-E715E(개발코드명)’에 대한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22일 밝혔다.BIK-E715E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 과발현돼 있는 ‘인테그린 표적 펩타이드’와 세포독성 항암제로 구성돼 있는 약물복합체에 ‘ELiTE-DDS’ 약물 전달 기술을 접목했다. ELiTE-DDS는 약물의 표적 결합력과 세포 내 전달을 강화하는 비아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에이비온은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간세포성장인수용체(MET) 억제제인 ‘바바메킵(개발코드명 ABN401)’과 3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저해제(EGFR TKI)인 ‘레이저티닙’ 병용 투여 시의 약물 상호작용(DDI) 결과 등 추가 데이터를 발표한다고 22일 밝혔다. AACR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다.EGFR 변이는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이를 표적하는 EGFR TKI 치료는 효과가 뛰어나지만, 내성 발생 시 ‘MET 유전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혁신신약개발 기업 오스코텍은 오는 25~3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신약 후보물질 'OCT-598' 및 'P4899'의 비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22일 밝혔다. 두 물질 모두 오스코텍의 차세대 항암신약 파이프라인으로 종양의 치료제 저항성 극복에 초점을 맞추고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P4899는 이번 AACR을 통해 최초 공개되는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항내성 항암과제다. EP2/4 이중 저해제인 OCT-598은 지난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아이빔테크놀로지는 오는 25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연구 콘퍼런스인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혁신적인 신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AACR 2025에서 선보이는 신제품은 고속 생체 영상화 데이터를 위한 혁신적인 AI 기반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인 ‘AI-Image Denoiser’와 중등형 동물을 위한 최첨단 생체현미경인 ‘IVM-FS’로, 생명과학 및 암 연구의 효율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제품군으로 평가받고 있다는 게 회사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암학회인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 무대에 나란히 선다고 22일 밝혔다.셀트리온은 다중항체 신약 후보물질인 ‘CT-P72(개발코드명)’의 전임상 결과를 최초로 발표할 예정이며, 셀트리온제약은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 페이로드(dual-payload) 개발 성과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양사가 항체 분야에서 각광받는 차세대 모달리티(치료 접근법)와 플랫폼 기술을 각각 장착해 국제 무대에서 처음 선보이는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파노로스바이오사이언스(이하 파노로스)는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25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자사의 차세대 항암신약 후보물질인 ‘PB203(개발코드명)’의 전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21일 밝혔다. 발표는 28일 오전에 진행될 예정이다.AACR은 매년 전 세계 5만여명의 암 연구자들이 참가하는 국제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로, 암의 원인부터 진단 그리고 치료까지 전 영역을 아우르는 가장 권위 있는 암 연구 플랫폼 중 하나로 꼽힌다.PB203은 암세포가 면역체계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25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2025, 이하 AACR 2025)’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최신 연구성과 7건을 공개한다고 21일 밝혔다.이번 7건의 연구 결과 발표에는 앞서 루닛이 공개한 글로벌 빅파마 제넨텍(Genentech)과의 면역항암제 ‘티센트릭’ 치료 효과 검증 연구 및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단백질 분해 신약 기업인 핀테라퓨틱스는 오는 25일부터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자사의 CK1α 분자접착 분해제(Molecular Glue Degrader, 이하 MGD) 신약 후보물질인 ‘PIN-5018(개발코드명)’의 비임상 데이터 일부를 최초로 공개한다고 18일 밝혔다.PIN-5018은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계열의 효소인 ‘CK1α(Casein Kinase 1 alpha)’를 표적하는 약물이다. CK1α는 세포주기 조절·DNA 복구·면역반응 등 생명 유지에 중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반의 항암신약 개발기업인 피노바이오는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차세대 ADC 링커 기술인 ‘PINOT-Linker’가 적용된 ADC의 안전성 개선 및 병용 전략에 대한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PINOT-Linker는 토포아이소머라아제1(Topoisomerase 1, Top1) 저해제 기반의 ADC에서 자주 발생하는 간질성 폐질환(ILD)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친수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항체신약’ 개발기업인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서 자사의 혁신적인 항체 디스커버리 플랫폼을 통해 확보한 pH-감응 항체 기반의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연구 성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치산쿄가 공동으로 개발한 ‘엔허투(성분 트라스트주맙 데룩스테칸)’의 성공으로 많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ADC 신약 개발에 뛰어들고 있어 임상 연구는 지속적으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테라펙스는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 참가해, 27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포스터 세션에서 표적단백질 분해제 항체접합체(DAC) ‘TRX-214-1002’의 연구 결과를 처음 공개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TRX-214-1002는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효과가 낮은 급성골수성백혈병(AML)을 타깃으로 한 차세대 ADC 물질이다. 테라펙스는 지난해 7월부터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지원을 받아 개발 중이다.테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한미약품이 비만을 비롯한 대사질환에서의 성과를 기반으로, 항암 분야로 혁신의 무대를 확장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미국암연구학회(AACR)에 3년 연속 참여해 총 7종의 항암 후보물질의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한미약품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AACR 2025’에 참가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다 건수인 11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고 14일 밝혔다.이번 AACR에서는 △EZH1/2 이중저해제(HM97662, 이하 개발코드명) 2건 △선택적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T) 개발기업인 큐로셀은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25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에서 자사가 개발 중인 T세포 유래 혈액암 대상 ‘동종유래 CAR-T 치료제’의 비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14일 밝혔다.T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T-ALL) 및 말초 T세포 림프종(PTCL)과 같은 ‘T세포 유래 혈액암’은 치료옵션이 제한적이고, 재발률이 높아 새로운 치료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질환이다. 이에 CAR-T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지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이중항체 전문기업인 에이비엘바이오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 학술대회에 참석해 'YH32364(개발코드명 ABL104)'의 비임상 데이터를 포스터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ABL104 포스터는 에이비엘바이오와 파트너사인 유한양행이 공동으로 발표한다.AACR 연례 학술대회는 매년 정기적으로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 및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암학회 중 하나다. 올해 AACR은 오는 25일(현지시간)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다.에이비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AZ)는 최근 자사가 개발 중인 전립선암 치료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인 ‘AZD0516(개발코드명)’이 전임상 연구에서 유망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오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공개될 예정이다.AZD0516은 전립선암에서 높게 발현되는 종양 특이 항원인 ‘STEAP2’를 표적하는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ADC 후보물질이다. 이 후보물질은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인 나이벡은 '2025년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자체 개발 중인 펩타이드 약물 접합(PDC) 시스템에 기반한 차세대 항암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2일 밝혔다.나이벡은 자체 개발한 PDC 시스템을 적용한 항암제의 항암 효과를 입증한 데이터를 공개하고, 여러 글로벌 제약사들과 미팅을 통해 협업을 논의할 예정이다.PDC는 약물전달시스템(DDS)의 한 형태로, 펩타이드를 활성 약물과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특정 세포나 조직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이다. 이번에 발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인공지능(AI) 기반의 디지털 병리 솔루션 기업인 딥바이오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 학술대회 2025에서 AI를 활용한 암 진단 및 바이오마커 정량 분석과 관련한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2일 밝혔다.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AACR은 전 세계 제약바이오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글로벌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다.이번 발표에서는 면역 억제 단백질인 'PD-L1(Programmed Death-Ligand 1)' 및 세포 증식 및 전이 관련 수용체 단백질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