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의료진 대상 국내외 저신장 치료 임상 데이터 및 바카라사이트 검증 치료 전략 논의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한국화이자제약과 GC녹십자는 지난 6월 28일과 29일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과 ‘지노트로핀(성분소마트로핀)’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지노트로핀 블라섬 심포지엄(Blossom Symposium)’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저신장증 질환별 최신 임상 데이터 △바카라사이트 검증 치료의 소아~성인기 전환 시 고려 사항 △바카라사이트 검증 치료 시 환자와 보호자가 느낄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부담 등의 다양한 주제가 심도있게 다뤄졌다.
첫 날에는 황진순 닥터황바카라사이트 검증의원 원장이 좌장을 맡아 채현욱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를 대상으로 국내 12개 종합병원에서 진행된 지노트로핀 임상 연구를 발표했다. 채현욱 교수는 7세 이후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와 비교해 6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한 소아의 경우 치료 시작부터 치료 시작 후 2~3년까지 목표 SDS(표준편차점수, Standard Deviation Score)인 -1SDS에 도달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며, 소아 특발성 저신장증의 조기 치료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양아람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저신장증 중 하나인 임신 주수에 비해 작게 태어난 ‘SGA성(Small for Gestational Age) 저신장증’ 소아와 만성신부전 환아에서의 바카라사이트 검증 치료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임상 연구를 소개했다. 양아람 교수는 “SGA와 만성신부전과 같은 저신장증에서도 지노트로핀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해 이러한 환자의 치료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둘째 날에는 심계식 강동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케빈 충 지 유엔(Kevin C. J. Yuen) 바로우 신경연구소 뇌하수체센터(Barrow neurological Institute Pituitary Center) 교수가 소아기에 발병한 바카라사이트 검증 결핍증 환자에서 성인기로의 치료 전환에 대한 최신 견해를 발표했다. 유엔 교수는 “소아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환 시점은 일반적으로 청소년 이환율이 증가하는 가장 취약한 시기인 만큼, 이러한 소아 환자에서 성인 호르몬 치료의 전환이 가능한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종 신장을 달성한 후 전환기 동안 지속적인 바카라사이트 검증 결핍(Growth Hormone Deficiency, GHD)이 확인된 환자에서 바카라사이트 검증(rhGH) 대체요법의 재개는 골밀도와 골격량을 증가시키고 체성분 지표를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돼 장기적인 예후를 고려한 치료의 연속성이 권고된다(2019 AACE Guideline, Grade A;BEL 1)”고 강조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심영석 아주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바카라사이트 검증 장기 투여에 따른 소아 환자와 보호자가 느낄 수 있는 부담에 대한 연구와 함께 대처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심영석 교수는 “바카라사이트 검증 치료에서 주사제에 대한 두려움과 통증이 대표적인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운데, 1회 투여 용량이 0.8㎖이하의 적은 용량은 통증을 증가시키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박진영 GC녹십자 SC본부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특발성 저신장을 비롯해 다양한 원인에 의한 바카라사이트 검증 치료 영역을 아우르며, 환자 중심 치료 전략과 글로벌 최신 지견을 공유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특히 근거 기반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국내 환경에서 이번 학술 교류는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노트로핀은 지난 2006년 국내 허가를 받은 바카라사이트 검증 치료제로, GC녹십자와 한국화이자제약이 2005년부터 국내 공급 계약을 통해 판매 중이다. 1987년부터 rhGH(재조합 인간 바카라사이트 검증,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치료를 받은 소아들에 대한 글로벌 데이터베이스인 KIGS(Pfizer International Growth Database)에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약 8만3000명의 소아 환자에서의 지노트로핀의 유효성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